자동차 리콜센터는 자동차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차량 제조사에서 해당 차량을 무료로 점검하고 수리해주는 리콜 정보를 제공하고, 리콜 대상 차량의 확인 및 처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운영하며, 자동차 리콜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리콜 신청 및 점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센터 주요기능
리콜 대상 차량 조회 : 차대번호(차량 고유 번호)를 입력해 본인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콜 정보 제공 : 최근 리콜 정보, 리콜 사유, 대상 차종, 리콜 일자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콜 예약 및 점검 : 리콜 대상 차량으로 확인된 경우, 가까운 리콜 서비스 센터에서 점검 및 수리 일정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리콜 이력 조회 : 과거 리콜 내역을 포함해 차량의 결함 관련 수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전 결함 신고: 운행 중 발견한 차량 결함이나 안전 문제를 신고할 수 있는 창구도 제공해 추가적인 리콜 조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센터 이용 및 확인방법
웹사이트 : 자동차 리콜센터 공식 웹사이트에서 차량 리콜 여부를 조회하고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리콜센터
자동차리콜제도 소개 제작결함정보의 수집·분석은 제작결함조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되는 결함정보 이외에도 결함신고 전용전화(
www.car.go.kr
모바일 앱 : 자동차 리콜 정보는 자동차365 앱에서도 조회 가능하며, 리콜 대상 여부와 리콜 이력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동차365 - Google Play 앱
자동차 생애주기에 맞춘 자동차 종합정보 제공 서비스입니다.
play.google.com
자동차365
i. 자동차365를 통한 자동차생애주기별 콘텐츠 이용 ii. 자동차 등록비용 계산기를 통한 등록비용 확인 iii. 자동차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 제공 iv. 본인 소유 차량에 대한 검사이력을 포함한 다
apps.apple.com
고객센터 전화 문의
한국교통안전공단 리콜센터 고객센터(080-357-2500)로 문의하여 리콜 대상 여부와 리콜 점검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 절차
리콜 대상 통보 : 자동차 제조사는 결함이 발견되면 국토교통부에 신고하고, 대상 차종의 소유주에게 리콜 통보를 합니다.
리콜 점검 예약 및 수리 : 소유주는 리콜 통보를 받은 후, 리콜센터 또는 지정된 정비소에서 점검 및 수리를 예약합니다.
무상 점검 및 수리 : 리콜 점검과 수리는 모두 무상으로 진행되며, 리콜 대상 차량은 수리 완료 시까지 점검과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 주의사항
리콜 통지 확인
리콜 대상 여부는 우편, 문자, 자동차365 앱 알림 등으로도 전달될 수 있으므로 차량 소유주는 리콜 안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콜 미이행 시 위험
리콜 대상 차량임에도 점검을 받지 않으면 안전에 큰 위험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해진 기간 내에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 리콜 시 제공되는 서비스
무료 수리 : 리콜 대상 차량은 무상으로 수리되며, 결함 부품을 교체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합니다.
긴급 수리 : 주행에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는 결함일 경우 빠르게 수리 일정을 잡아 처리합니다.
안전 점검 : 리콜 대상 여부와 상관없이 안전에 관한 전반적인 점검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의사항
리콜 수리 일정과 관련해, 리콜 통보를 받은 후 지정된 기간 내에 수리를 완료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기한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리콜은 리콜이 진행되는 동안 차를 임시로 대여해주는 대차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종류와 수령방법 장점을 알아보자 (0) | 2024.11.06 |
---|---|
메리츠화재 저축보험 가입방법과 가입 시 유의사항을 알아보자 (0) | 2024.11.05 |
세금 부담 완화를 목표로 하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를 알아보자 (0) | 2024.11.04 |
차량관련 종합정보서비스는 자동차365 장점 및 이용방법을 알아보자 (0) | 2024.11.03 |
산모와 태아를 위한 태아보험의 가입시기와 보장내용을 알아보자 (0) | 2024.11.02 |
생명보험의 보장내용과 종류를 알아보자 (0) | 2024.11.02 |